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악법
- New York Excelsior
- 서양사
- 라틴어 해석
- sandwich theorem
- 해석학
- 역사
- 중세사
- 7의 배수
- 독일
- 옥스포드 라틴어
- 세계사
- 샌드위치 정리
- 수학올림피아드
- RSA 알고리즘
- 라틴어 비교급
- sqeeze theorem
- NY Excelsior
- 정수론
- 유럽사
- 옥스포드 라틴 코스
- 라틴어 문법
- 봉건제
- 배수 판정법
- 조임 정리
- 피렌느
- 오버워치 리그
- 다이모니온
- 라틴어
- 수학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개신교 (1)
친절한 공대생
루터의 종교개혁: 서양 근대의 시작
1517년 10월 31일, 마르틴 루터는 비텐베르크성 교회 대문에 "95개조 반박문"을 내걸었다. 천년에 걸친 중세시기를 끝마치고 근대의 시작을 알리는 종교개혁이 문을 연 것이다. 혹자는 종교에 관한 사건이 어떻게 근대의 시작이 될 수 있냐고 질문할지 모르겠다. 루터의 종교개혁이 근대의 시작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당시의 사회적 배경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. 루터의 종교개혁이 성공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종교적 측면과 정치적 측면이 있다. 첫째, 종교적 측면으로는 신비주의의 대두를 들 수 있다. 13세기의 기독교는 이성을 통해 신을 이해하려는 신학과 거대해진 교황청, 위압감있는 고딕 양식으로 상징되었다. 이는 신도들의 종교적 갈증을 해결할 수 없었고, 그에 따라 성경 그 자체와 직관을 통해 하나님과..
교양/서양사
2018. 8. 1. 17:0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