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sandwich theorem
- 다이모니온
- 샌드위치 정리
- 세계사
- 정수론
- 수학올림피아드
- 라틴어 비교급
- 수학
- 독일
- 역사
- 배수 판정법
- 라틴어
- 7의 배수
- 라틴어 해석
- 라틴어 문법
- 봉건제
- 유럽사
- 서양사
- 오버워치 리그
- 옥스포드 라틴 코스
- New York Excelsior
- 피렌느
- RSA 알고리즘
- 조임 정리
- 악법
- 중세사
- sqeeze theorem
- 옥스포드 라틴어
- NY Excelsior
- 해석학
- Today
- Total
목록컴퓨터공학 이야기 (2)
친절한 공대생
DFS와 BFS는 그래프의 정점을 순회할 때 가장 많이 쓰이는 알고리즘이다. 두 알고리즘 모두 한 정점에서 시작하여 엣지를 따고 한 노드씩 차례로 방문해간다. 하지만 DFS는 '깊이우선탐색'이기 때문에 엣지를 타고 최대한 깊게 들어갈 수 있을 때까지 들어간 뒤 다음 노드를 타는 반면, BFS는 '넓이우선탐색'이기 때문에 그 노드의 주변 노드부터 모두 방문한 다음 엣지를 타고 간다. DFS는 스택이나 재귀함수를 사용하여 구현하고 BFS는 큐를 사용하여 구현한다. 아래 코드는 DFS를 구현할 때 재귀함수를 사용하였고 BFS를 구현할 때는 파이썬 기본 라이브러리인 Queue를 import하였다. from queue import Queue # Class which represents unweighted, und..
중위 표기법과 후위 표기법은 수식을 표기하기 위한 방법이다. 중위 표기법(Infix Notation)은 연산자를 두 피연산자 사이에 적는 방법이고, 후위 표기법(Postfix Notation)은 연산자를 두 피연산자 뒤에 적는 방법이다. 예를 들어, 1과 2를 더하는 수식을 중위 표기법으로 작성하면 "1+2"가 되고 후위 표기법으로 작성하면 "12+"가 된다. 다른 예로, 1과 2를 더하고 그 결과에 3을 곱하는 수식을 중위 표기법으로 작성하면 "(1+2)*3"이 되고 후위 표기법으로 작성하면 "12+3*"가 된다. 인간은 역사적으로 중위 표기법을 써왔기 때문에 중위 표기법이 편하지만, 컴퓨터에게는 예외없이 왼쪽부터 차례로 문자를 읽어가기만 해도 수식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는 후위 표기법이 편하다. 따라..